맨위로가기

캐논 EOS 7D Mark II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논 EOS 7D Mark II는 2,020만 화소 APS-C CMOS 센서, 듀얼 DIGIC 6 이미지 프로세서, 초당 10.0 프레임 연사, 65-포인트 자동 초점 시스템, Full HD 동영상 촬영 기능 등을 갖춘 캐논의 디지털 SLR 카메라이다. 2014년 9월 16일에 발표되었으며, 마그네슘 합금 바디, 방진 방습 기능, GPS 태깅, 듀얼 픽셀 CMOS AF 기술, 104만 도트 LCD 화면, 100% 뷰파인더 프레임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듀얼 CF 및 SD 카드 슬롯을 지원하며, 1080p Full HD 또는 720p HD 비디오를 최대 60p로 촬영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논 EOS DSLR 카메라 - 캐논 EOS 600D
    캐논 EOS 600D는 1,800만 화소 APS-C CMOS 센서와 DIGIC 4 이미지 프로세서를 탑재해 고화질 사진과 풀 HD 동영상 촬영을 지원하며 회전형 LCD 모니터와 다양한 기능으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캐논의 2011년 출시 보급형 디지털 SLR 카메라이다.
  • 캐논 EOS DSLR 카메라 - 캐논 EOS-1D X
    캐논 EOS-1D X는 1810만 화소의 풀프레임 DSLR로, 풀 HD 비디오 촬영, 61개 자동 초점 포인트, ISO 50-204,800 감도, 초당 12 프레임 연속 촬영을 지원하며, 듀얼 DIGIC 5+ 이미지 프로세서, 방진/방습 기능, 35mm 풀사이즈 CMOS 센서, CF 카드 듀얼 슬롯, 캐논 EF 렌즈 호환을 특징으로 한다.
캐논 EOS 7D Mark II
기본 정보
Canon EOS 7D Mark II Body-Crop.jpg
EOS 7D Mark II 렌즈 없음
종류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
렌즈교환 가능 (EF / EF-S)
이미지 센서 종류CMOS
이미지 센서 크기22.4 × 15.0 mm (APS-C 크기)
유효 화소수20.2 메가픽셀 (5472 × 3648)
이미지 프로세서듀얼 DIGIC 6
뷰파인더펜타프리즘 아이레벨식, 시야율 약 100% / LCD (라이브 뷰)
저장 매체듀얼 슬롯: 컴팩트플래시 (CF) 카드 Type I (UDMA-7 지원) 및 SD/SDHC/SDXC 카드 (UHS-I 버스 지원), W-E1 SD 카드 모양의 와이파이 어댑터
셔터전자 제어식 포컬 플레인 셔터
셔터 속도1/8000–30초 및 벌브; X-sync 1/250초
측광 방식TTL, 최대 개방, 252 영역
노출 모드장면 지능 자동, 프로그램 AE, 셔터 우선 AE, 조리개 우선 AE, 수동 노출, 벌브 노출, 사용자 정의 (3×), 동영상
측광 모드평가 측광, 부분 측광, 스팟 측광, 중앙 중점 평균 측광
초점 영역65 크로스 타입 AF 포인트
초점 모드원샷, AI 포커스, AI 서보, 라이브 뷰 (플렉시존 - 멀티, 플렉시존 - 싱글, 얼굴 인식, 동영상 서보), 수동
연속 촬영초당 10프레임, UDMA-7 컴팩트플래시 카드 사용 시 최대 1,090 JPEG 프레임 또는 31 raw 프레임 버퍼
감도 범위ISO 100–16000 (1/3 스톱씩 조절 가능) (확장 시 H1: 25600; H2: 51200)
후면 LCD3.0인치 (7.7cm) 클리어 뷰 II 컬러 TFT LCD 스크린, 1,040,000 도트
무게(본체만)
배터리리튬 이온 LP-E6/LP-E6N 충전식 배터리 (각각 1800mAh/1865mAh)
배터리 그립BG-E16 그립은 AA 배터리 6개, LP-E6N 배터리 1개 또는 LP-E6N 배터리 2개를 사용할 수 있음
제조국일본
이전 모델Canon EOS 7D
다음 모델Canon EOS R7
기타 정보
수상 내역XXV TIPA AWARDS (2015)
공식 웹사이트EOS 7D Mark II feature at canon.com

2. 주요 특징


  • 2,020만 유효 화소 APS-C CMOS 센서
  • 14비트 처리 기능을 갖춘 듀얼 DIGIC 6 이미지 프로세서[2]
  • 라이브 뷰 모드
  • 50mm 렌즈 사용 시 1.0배 배율의 100% 뷰파인더 프레임 커버리지
  • 초당 10.0 프레임 연속 촬영
  • ISO 감도 100–16,000 (51,200까지 확장 가능)
  • 104만 도트 해상도의 3.0인치 Clear View II LCD 화면
  • 65-포인트 자동 초점 시스템, 모두 크로스 타입. 중앙 포인트는 고정밀 듀얼 크로스 타입으로 −3 EV 감도
  • 252존 색상 감지 측광 시스템
  • GPS 태깅[6]
  • 새로운 150,000 픽셀/RGB+IR 측광 센서를 갖춘 EOS 장면 감지 시스템.
  • 마그네슘 합금 바디
  • 팝업 플래시
  • 인터벌 타이머
  • 방진 방습 기능 (방수 및 방진)
  • 1995년 이후 생산된 대부분의 캐논 렌즈에 대한 카메라 내 자동 렌즈 왜곡 보정 기능[7]

2. 1. 센서 및 이미지 처리

캐논 EOS 7D Mark II는 2,020만 유효 화소를 가진 APS-C 크기의 CMOS 센서를 탑재했다. 이 이미지 센서는 3:2의 화면 비율을 가지며, 자동 및 수동 방식의 먼지 제거 기능과 먼지 제거 데이터 첨부 기능을 지원한다.

이미지 처리를 위해 14비트 처리 능력을 갖춘 듀얼 DIGIC 6 이미지 프로세서를 사용한다.[2] 이를 통해 빠른 처리 속도와 향상된 이미지 품질을 제공한다. ISO 감도는 기본적으로 100부터 16,000까지 지원하며, ISO 51,200까지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저조도 환경에서도 촬영이 용이하다. 또한, 새로운 150,000 픽셀 RGB+IR 측광 센서를 이용하는 EOS 장면 감지 시스템을 통해 더욱 정확한 노출 제어와 장면 인식이 가능하다.

촬영된 이미지는 DCF 2.0 규격에 따라 저장된다. 이미지 파일 형식은 JPEG와 14비트[21] RAW 파일을 지원하며, RAW와 JPEG 파일을 동시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되는 화소수는 아래 표와 같이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폴더를 새로 만들거나 기존 폴더를 선택하여 파일을 관리할 수도 있다.

기록 화소수
파일 형식크기화소수 (해상도)
JPEGL (라지)약 2000만 (5472×3648) 화소
M (미들)약 890만 (3648×2432) 화소
S1 (스몰 1)약 500만 (2736×1824) 화소
S2 (스몰 2)약 250만 (1920×1280) 화소
S3 (스몰 3)약 35만 (720×480) 화소
RAW (14bit)[21]RAW약 2000만 (5472×3648) 화소
M-RAW약 1120만 (4104×2736) 화소
S-RAW약 500만 (2736×1824) 화소



다양한 이미지 설정 및 보정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 픽쳐 스타일: 자동, 표준, 인물, 풍경, 뉴트럴, 충실 설정, 모노크롬 등 기본 제공 스타일 외에 사용자 정의 스타일 3개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 화이트 밸런스: 자동 설정 외에도 태양광, 그늘, 흐림, 백열전구, 백색 형광등, 스트로보 등 다양한 프리셋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직접 색온도를 약 2500~10000 K 범위(100K 단위)에서 설정하거나, 화이트 밸런스 보정 및 브래킷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
  • 노이즈 감소: 장시간 노출 시 발생하는 노이즈와 고감도 촬영 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줄여주는 기능을 탑재했다.
  • 밝기 및 계조 보정: 자동 밝기 최적화 기능을 통해 이미지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며, 밝은 영역의 디테일을 살리는 고휘도 측 계조 우선 기능도 지원한다.[22]
  • 렌즈 보정: 렌즈 주변부의 광량이 저하되는 현상을 보정하며, 1995년 이후 생산된 대부분의 캐논 렌즈에 대해 카메라 내에서 자동으로 왜곡을 보정하는 기능을 갖추었다.[7] 색수차 보정 기능 또한 포함되어 있다.
  • 카메라 내 RAW 현상: 카메라 내부에서 RAW 파일을 현상할 때 밝기, 화이트 밸런스, 픽쳐 스타일, 자동 밝기 최적화, 노이즈 감소, JPEG 화질, 색 공간, 렌즈 보정(주변 광량, 왜곡, 색수차) 등을 직접 조절하여 JPEG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 리사이즈: 촬영한 이미지의 크기를 카메라 내에서 변경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2. 2. 자동 초점 (AF) 시스템

7D Mark II는 65개의 자동 초점(AF) 포인트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캐논 EOS 1D X와 유사한 시스템이다. 그러나 특정 렌즈는 65개의 AF 포인트를 모두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8] AF 시스템은 뷰파인더의 이미지 데이터와 뷰파인더 이미지를 오버레이하기 위해 반투명 LCD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

이 카메라는 캐논 EOS 70D 카메라에 처음 도입된 캐논의 독자적인 차세대 듀얼 픽셀 CMOS AF(DAF)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3] 듀얼 픽셀 CMOS AF는 센서의 유효 화소가 이미징(사진 촬영)과 위상차 검출 방식의 초점 측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동영상 촬영이나 라이브 뷰 모드에서 스틸 이미지를 촬영할 때 자동 초점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캐논의 듀얼 픽셀 CMOS AF 시스템과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무비 서보 AF 기능을 통해, 동영상 녹화 중에도 지속적으로 위상차 검출 방식의 AF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영역의 약 80%(가로 및 세로 기준)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추적하며 초점을 맞출 수 있다. DAF 초점 모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3]

  • 트래킹 기능이 있는 얼굴 인식
  • 31개의 AF 영역을 사용하는 플렉시존 멀티
  • 사용자가 카메라 LCD 화면에서 직접 초점 프레임을 배치할 수 있는 플렉시존 싱글


AF 시스템의 세부 사양은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초점 방식 | 전용 AF 센서를 사용한 TTL 2차 결상 위상차 검출 방식
65점 (크로스 측거점: 최대 65점)
EV -0.5 ~ 18 (상온, ISO100)
AF (원샷 AF, AI 서보 AF, AI 포커스 AF), MF (수동)
스팟 1점 AF (임의 선택), 1점 AF (임의 선택), 영역 확대 AF (임의 선택 상하좌우), 영역 확대 AF (임의 선택 주변), 존 AF (존 임의 선택), 라지 존 AF (존 임의 선택), 65점 자동 선택 AF
EOS iTR[26] AF 설정에 따름 (얼굴/색상 정보를 사용한 AF 가능)
Case 1 ~ 6
피사체 추적 특성, 속도 변화에 대한 추종성, 측거점 이동 특성
AF 마이크로 어저스트먼트를 통해 지원
내장 플래시 간헐 발광 방식


2. 3. 연사 및 셔터

7D Mark II는 듀얼 DIGIC 6 이미지 프로세서[2]를 탑재하여 초당 10.0 프레임의 고속 연속 촬영이 가능하다. UDMA-7 CF 카드를 사용할 경우, 버퍼 용량은 JPEG 형식으로 최대 1,090장, RAW[3] 형식으로는 최대 31장까지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다.

셔터는 20만 회의 작동 수명을 보증하며, 최고 셔터 속도는 1/8000초까지 지원한다. 기본 플래시 동조 속도는 1/250초[28]이지만, 호환되는 외부 플래시를 사용하면 최대 1/8000초까지 고속 동조 촬영이 가능하다.[7] 또한, 실내 스포츠 경기장 등에서 인공조명의 깜박임 현상으로 인해 사진의 노출이나 색상이 불규칙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가 광원의 깜박이는 주기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셔터 릴리스 타이밍을 조절하는 '깜박임 방지 촬영' 기능이 탑재되었다.[7]

고속 연사 시 미러(반사 거울)의 충격으로 인한 카메라의 미세한 흔들림(미러 쇼크)을 줄이기 위해, 모터를 이용해 미러의 움직이는 속도를 제어하는 미러 진동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었다.[9] 이 모터 구동 방식은 작동 소음을 줄인 '무음 촬영 모드'도 가능하게 한다. 다만, 무음 모드 사용 시에는 셔터를 누른 후 실제 사진이 찍히기까지 걸리는 시간(셔터 랙)이 일반 촬영 시 0.055초에서 0.105초로 약간 길어진다.[10]

=== 셔터 및 드라이브 모드 상세 정보 ===

  • '''셔터 형식''': 전자 제어식, 포컬 플레인 셔터
  • '''셔터 속도''': 1/8000초 ~ 30초 (모든 촬영 모드), 벌브(Bulb) 지원 (X-동조[28] = 1/250초)


'''드라이브 모드 및 연사 속도'''[3]
드라이브 모드설정 가능 범위 (fps)최대 연사 속도 (fps)
1장 촬영--
고속 연속 촬영10~2약 10.0 (EOS iTR AF 작동 시 약 9.5)
저속 연속 촬영9~1약 3.0
정음 1장 촬영--
정음 연속 촬영4~1약 4.0
셀프 타이머10초 / 리모컨-



'''연속 촬영 가능 매수'''[3] (UDMA-7 CF 카드 사용 기준)


  • JPEG 라지/파인: 약 130장 (최대 약 1090장)
  • RAW: 약 24장 (최대 약 31장)
  • RAW+JPEG 라지/파인: 약 18장 (최대 약 19장)

2. 4. 뷰파인더 및 디스플레이

펜타프리즘을 사용한 아이레벨식 뷰파인더를 탑재했다. 시야율은 상하/좌우 모두 약 100%이며[23], 50mm 렌즈 사용 시 배율은 약 1.0배이다.[24] 아이 포인트는 약 22mm이고[25], 시도 조절 범위는 약 -3.0 ~ +1.0m−1(dpt)이다. 초점 스크린은 Eh-A 타입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Eh-S 타입으로 교체할 수 있다. 뷰파인더 내부에 그리드 표시와 전자식 수평계(수평 방향: 1° 간격 ±6°, 수직 방향: 1° 간격 ±4°) 표시가 가능하며, 퀵 리턴 방식 미러를 사용하고 피사계 심도 확인 기능을 지원한다.

후면에는 TFT 방식의 3.0인치(화면 비율 3:2) 컬러 액정 모니터가 장착되어 있다. 약 104만 화소(VGA)의 해상도를 가지며, 시야율은 약 100%이다. 밝기 조정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에도 전자식 수평계(수평 방향: 1° 간격 ±6°, 수직 방향: 1° 간격 ±4°) 표시 기능이 있다.

뷰파인더 및 디스플레이 주요 사양
구분사양
뷰파인더형식펜타프리즘 사용, 아이레벨식
시야율상하/좌우 약 100%[23]
배율약 1.0배[24] (50mm 렌즈 사용 시)
아이 포인트약 22mm[25]
시도 조절 범위약 -3.0 ~ +1.0m−1(dpt)
초점 스크린Eh-A 표준 장착, 교체 가능 (Eh-S)
기타그리드 표시, 수평계 표시, 퀵 리턴 방식, 피사계 심도 확인 가능
디스플레이형식TFT식 컬러 액정 모니터
화면 크기/화소 수3.0형 (3:2) / 약 104만 화소(VGA)
시야율약 100%
밝기 조정자동, 수동
기타수평계 표시 가능


2. 5. 동영상 기능

1080p Full HD 또는 720p HD 해상도의 동영상을 초당 최대 60프레임(60p)으로 촬영할 수 있다. 코덱은 ALL-I 또는 IPB 중 선택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전체 해상도에서 슬로우 모션 촬영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영상에 타임코드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저장 파일 형식은 .MOV와 .MP4 두 가지를 모두 지원한다. 카메라의 미니 HDMI 포트를 통해 압축되지 않은 Full HD 영상을 외부 레코더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2]

'''동영상 촬영 시 주요 기능'''

  • '''초점'''
  • * 자동 초점(AF): 듀얼 픽셀 CMOS AF 방식과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얼굴+추적 우선 AF, 라이브 다점 AF, 라이브 1점 AF)을 지원한다.
  • * 수동 초점(MF): 초점 조절 시 화면을 5배 또는 10배 확대하여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 '''컨티뉴어스 AF''': 동영상 촬영 중 움직이는 피사체에 지속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기능 사용이 가능하다.[31]
  • '''측광 방식''':
  • * 평가 측광 (315분할)
  • * 부분 측광 (라이브 뷰 화면의 약 10%)
  • * 스폿 측광 (라이브 뷰 화면의 약 2.6%)
  • * 중앙부 중점 평균 측광
  • '''측광 범위''': EV 0 ~ 18 (상온, ISO 100 기준)
  • '''화면 비율''': 3:2, 4:3, 16:9, 1:1 등 다양한 화면 비율 선택이 가능하다.
  • '''무음 촬영''': 셔터 소리 없이 조용히 촬영할 수 있는 무음 촬영 모드(모드 1, 2)를 지원한다.
  • '''격자 표시''': 화면에 3가지 종류의 격자를 표시하여 구도 설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 6. 기타 기능


  • GPS 내장: GPS 위성(미국), GLONASS 위성(러시아), 준천정 위성 미치비키(일본)를 지원하여 이미지에 위치 정보(위도, 경도, 고도, 방위, 협정 세계시(UTC), 위성 포착 상태)를 기록할 수 있다. 위치 정보 갱신 간격은 1초에서 5분까지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며, GPS 시간 데이터를 카메라에 설정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전자 컴퍼스 기능과 NMEA 형식의 로그 데이터 기록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6]

GPS 기능 상세
기능내용
지원 위성GPS 위성(미국), GLONASS 위성(러시아), 준천정 위성 미치비키(일본)
부가 정보위도, 경도, 고도, 방위, 협정 세계시(UTC), 위성 포착 상태
정보 갱신 간격1초, 5초, 10초, 15초, 30초, 1분, 2분, 5분 간격 중 선택
시각 맞춤GPS 시간 데이터를 카메라에 설정 가능
전자 컴퍼스3축 지자기 센서 및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방위 산출
로그 데이터NMEA 형식으로 1일 1파일 생성


  • 인터벌 타이머: 설정된 간격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인터벌 촬영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 방진 방습 기능: 마그네슘 합금 바디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높였으며, 방진 방습 처리가 되어 있어 악천후 조건에서도 촬영 안정성을 높였다.
  • 렌즈 왜곡 보정: 1995년 이후 생산된 대부분의 캐논 렌즈에 대해 카메라 내에서 자동으로 렌즈 왜곡을 보정하는 기능을 지원한다.[7]
  • 깜박임 방지 촬영: 실내 인공조명(형광등 등) 아래에서 촬영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깜박임 현상을 감지하여, 광량이 최대일 때 셔터가 작동하도록 셔터 릴리스 타이밍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이 탑재되었다.[7]
  • 무음 촬영 모드: 미러 구동 메커니즘 개선으로 셔터 소음을 줄인 무음 촬영 모드를 지원한다. 이 모드를 사용하면 셔터 랙 타임이 0.055초에서 0.105초로 약간 증가하지만, 조용한 환경에서의 촬영에 유용하다.[9][10]
  • 개선된 버튼 배치: 버튼 배치가 개선되어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었으며, 5D Mark III와 유사한 조작감을 제공한다.
  • 동영상 촬영 편의 기능: 동영상 촬영 시 외부 마이크를 연결할 수 있는 스테레오 마이크 포트와 실시간 오디오 모니터링을 위한 헤드폰 잭을 갖추고 있다. 또한 녹음 중 오디오 레벨을 소리 없이 조절할 수 있는 무음 제어 기능을 지원한다.
  • 다중 노출: 2매에서 9매까지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한 장의 사진으로 만드는 다중 노출 촬영이 가능하다. 노출 제어 방식은 가산, 가산 평균, 비교(명), 비교(암)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 내장 플래시: 팝업 방식의 내장 플래시가 있으며, 가이드 넘버는 약 11 (ISO100·m)이다. 대응 화각은 초점 거리 15mm 상당이며, 충전 시간은 약 3초이다. 내장 플래시를 이용한 캐논 EX 시리즈 스피드라이트 무선 동조 기능(마스터)도 지원한다.
  • 측광 시스템: 15만 화소 RGB+IR 측광 센서를 이용한 252분할 TTL 개방 측광 시스템을 사용하며, 평가 측광, 부분 측광, 스폿 측광, 중앙부 중점 평균 측광 모드를 지원한다. 측광 범위는 EV 0~20이다.
  • 노출 제어: 프로그램 AE, 셔터 속도 우선 AE, 조리개 우선 AE, 수동 노출, 벌브 등 다양한 노출 제어 방식을 지원한다. 노출 보정은 ±5 스톱까지, AE 브라케팅(AEB)은 ±3 스톱까지 가능하다.
  • ISO 감도: 기본 ISO 100–16,000을 지원하며, 확장 시 ISO 51,200(H2)까지 설정 가능하다. ISO 자동 설정 시 상한 감도를 지정할 수 있다.

3. 구조

이 카메라는 '순간을 포착하는 스피드 EOS'라는 컨셉 아래 APS-C 규격의 플래그십 기종을 목표로 개발되었다[15]. 고속 연사 성능과 내구성을 강화했으며[18][19], 망원 효과를 필요로 하는 전문가 수요에도 대응하도록 설계되었다[15].

3. 1. 설계 및 내구성

본 기기는 'APS-C 크기 플래그십 기종을 목표'로 '순간을 포착하는 스피드 EOS'를 컨셉으로 개발되어 2014년 9월 16일에 발표되었다[15]. 기존 APS-H 크기의 프로 모델(EOS-1D MarkIV)이 풀프레임 모델(EOS-1D X)으로 통합되면서, 망원 효과를 필요로 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하이 아마추어 층뿐만 아니라 프로 사용자도 서브 타겟으로 삼았다[15].

EOS 7D와 비교하면 폭이 0.4mm, 높이가 1.7mm, 깊이가 4.7mm 증가했지만, 무게는 910g으로 동일하다[16]. 외장에는 마그네슘 합금을 사용했으며, 방진 방적 사양으로 실링재를 부재 성형 시 동시에 성형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EOS 5D MarkIII보다 높은 방진 방적 성능을 구현했다[17].

연사 속도는 초당 약 10매로 고속화되었으며, 이를 위해 셔터 유닛에 볼 베어링을 채용했다[15]. 또한, 미러 동작을 모터로 직접 구동하고 미러 쇼크를 줄이기 위한 댐퍼 기구를 탑재했다[18]. 셔터의 내구 횟수는 20만 회로 향상되었다[19].

이미지 센서는 새롭게 개발되었으며, 고감도 성능과 고속 성능을 고려하여 화소수는 2020만 화소로 결정되었다[15].

형광등의 깜박임으로 인한 악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플리커 프리 기능을 새롭게 탑재했다[20]. 이 기능은 형광등과 같은 광원의 발광 주기 피크 부근에서 셔터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기능으로, 작동 시 셔터 타임 랙은 수 밀리초(ms) 정도로 미세하다[20].

3. 2. 작동 환경


  • 사용 가능 온도: 0°C ~ 40°C
  • 사용 가능 습도: 85% 이하

4. 저장 매체

CF 카드와 SD 메모리 카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트윈 슬롯을 지원한다. CF 카드는 타입 I 규격을 따르며, ATA UDMA Mode 7까지 지원한다. SD 메모리 카드 슬롯은 SD, SDHC, SDXC 규격을 모두 지원한다.

5. 전원

카메라는 캐논의 "배터리 팩 LP-E6N" 1개를 기본 전원으로 사용한다. 기존 "배터리 팩 LP-E6"도 호환된다. 배터리 사양은 다음과 같다.

구분형식공칭 전압방전 용량질량
배터리 팩 LP-E6N리튬 이온 배터리DC 7.2V1,865mAh약 80g
배터리 팩 LP-E6리튬 이온 배터리DC 7.2V1,800mAh약 80g



AC 전원을 사용하려면 캐논 "AC 어댑터 키트 ACK-E6"를 별도로 구매하여 연결해야 한다.

"배터리 그립 BG-E16"을 장착하면 추가적인 전원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 AA형 건전지: "배터리 매거진 BG-E16"에 AA형 건전지 6개를 넣어 사용할 수 있다.
  • 배터리 팩: "배터리 팩 LP-E6" 또는 "배터리 팩 LP-E6N"을 1개 또는 2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 메뉴에서 배터리의 남은 용량, 총 촬영 횟수, 배터리 성능 저하 정도(열화도)를 확인할 수 있다.

CIPA 시험 기준에 따른 촬영 가능 매수는 다음과 같다.

  • 뷰파인더 촬영 시: 상온(23°C)에서 약 670매, 저온(0°C)에서 약 640매 촬영 가능.
  • 라이브 뷰 촬영 시: 상온(23°C)에서 약 250매, 저온(0°C)에서 약 240매 촬영 가능.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 팩 LP-E6N"을 사용했을 때 동영상 촬영 가능 시간은 다음과 같다.

  • 상온(23°C): 약 1시간 40분
  • 저온(0°C): 약 1시간 30분


날짜 및 시간 설정을 유지하기 위한 내부 배터리로는 리튬 전지 "CR1616" 1개를 사용한다.

6. 인터페이스


  • 영상/음성 출력・디지털 단자(A/V OUT/DIGITAL 단자): SuperSpeed USB
  • HDMI 미니 출력 단자: 타입 C (해상도 자동 전환), CEC 대응
  • 외부 마이크 입력 단자: φ3.5mm 스테레오 미니 잭
  • 리모컨 단자: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N3 타입에 대응
  • 무선 리모컨: 「리모트 컨트롤러 RC-6」에 대응
  • 확장 시스템 단자: 「무선 파일 트랜스미터 WFT-E7B (Ver.2)」연결용
  • Eye-Fi 카드: 대응

7. 액세서리

새로 구매했을 때, 캐논 EOS 7D Mark II 모델에 포함되는 기본 구성품은 다음과 같다.[11]


  • LP-E6N 리튬 이온 배터리 팩 (EOS 7D Mark II DSLR 카메라용)
  • LC-E6 충전기 (LP-E6 배터리 팩용)
  • 아이컵 Eg
  • RF-3 카메라 커버
  • IFC-150U II USB 3.0 인터페이스 케이블 (EOS 7D Mark II DSLR용)
  • 와이드 카메라 스트랩
  • 배터리 커버
  • 소프트웨어 CD-ROM

참조

[1] 웹사이트 Camera Test: Canon EOS 7D Mark II Canon’s APS-C pro body gets an overhaul http://www.popphoto.[...] Popular Photography 2015-02-03
[2] 웹사이트 EOS 7D Mark II feature at canon.com https://www.usa.cano[...] Usa.canon.com 2014-09-15
[3] 간행물 Fuel Your Creative Passion With The Highly Anticipated Canon EOS 7D Mark II Digital SLR Camera https://www.usa.cano[...] Canon 2014-09-15
[4] 웹사이트 XXV TIPA AWARDS (2015) http://www.tipa.com/[...] Technical Image Press Association 2015-04-11
[5] 웹사이트 Camera GP2015 Japan カメラグランプリ2015 http://www.cjpc.jp/g[...]
[6] 웹사이트 Canon USA EOS 7D Mk II https://www.usa.cano[...] Canon USA
[7] 웹사이트 Canon 7D Mark II http://www.kenrockwe[...] KenRockwell.com 2014-09-15
[8] 웹사이트 Canon 7D Mark II Lens Compatibility List http://thenewcamera.[...] 2014-12-29
[9] 웹사이트 EOS 7D Mark II Developer’s Interview [Part 3] More about the EOS 7D Mark II – Technology http://www.canon-asi[...]
[10] 웹사이트 Canon EOS 7D Mark II Body http://shop.usa.cano[...] Canon Online Store
[11] 웹사이트 Canon 7D Mark II EOS DSLR Camera (Canon 7D Mark II Body) 9128B002 B&H Photo http://www.bhphotovi[...] B&H Photo 2014-09-15
[12] 웹사이트 キヤノン:EOS 7DmarkⅡ|主な仕様 http://cweb.canon.jp[...] キヤノン 2015-06-30
[13] 웹사이트 キヤノン:デジタル一眼レフカメラ EOS DIGITAL|製品ラインアップ http://cweb.canon.jp[...] キヤノン 2015
[14] 뉴스 カメラグランプリ2015、「EOS 7D Mark II」がダブル受賞 https://dc.watch.imp[...]
[15] 문서 '日本カメラ』通巻890号、p.222'
[16] 문서 '日本カメラ』通巻890号、p.213'
[17] 문서 '日本カメラ』通巻890号、p.214'
[18] 문서 '日本カメラ』通巻890号、p.215'
[19] 문서 '日本カメラ』通巻890号、p.216'
[20] 문서 '日本カメラ』通巻890号、p.223'
[21] 문서 RAW(14bit) - キヤノン独自
[22] 문서 高輝度側・階調優先機能設定時は、ISO感度設定範囲がISO200 - 6400に制限
[23] 문서 レンズ焦点距離35mm、撮影距離1mで独自試験を行ったところ、上下方向約98%、左右方向約99%であった。(『日本カメラ』通巻890号、p.216)
[24] 문서 ファインダー倍率:約1.0倍 - 50mmレンズ・∞・-1m–1
[25] 문서 アイポイント:約22mm - -1m–1時/接眼レンズ中心から
[26] 문서 iTR:Intelligent Tracking and Recognition
[27] 문서 'ハイダイナミックレンジ合成|HDR=ハイダイナミックレンジ合成もしくは、ハイダイナミックレンジイメージ図'
[28] 문서 X - ストロボ同調最高シャッター速度
[29] 문서 キヤノン試験基準8GB CFカードを使用し、当社試験基準(アスペクト比3:2、ISO100、ピクチャースタイル:スタンダード)で測定 ( )内の数値は、キヤノン試験基準UDMAモード7対応、CFカード使用時の枚数
[30] 문서 FEロック - フラッシュエクスポージャー(Flash Exposure)ロック
[31] 문서 動体追従オートフォーカス(コンティニュアスオートフォーカス)
[32] 문서 エリアを変えると別ファイル生成
[33] 문서 内蔵メモリーに保存されたログデータを、ログファイルとしてカードに移動/パソコンに取り込み可能
[34] 웹인용 EOS 7D Mark II 설명페이지 http://www.canon-ci.[...] 2015-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